본문 바로가기
IT 모바일 Gear Up

크롬 실수로 닫은 창 다시 열기 - 웹 브라우저에서 닫은 창 복원하기

by sk2nd 2025. 10. 21.
반응형

크롬 실수로 닫은 창 다시 열기

웹 브라우저에서 닫은 창 복원하기

인터넷을 이용하다 보면 실수로 중요한 페이지를 닫아버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온라인 결제 중이거나, 작성 중인 글이 있는 탭을 닫았을 때 당황스러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웹 브라우저는 이러한 실수를 복구할 수 있도록 ‘닫은 탭 다시 열기’ 기능을 제공합니다. 브라우저별로 단축키나 메뉴 경로가 다르므로 각 환경에 맞는 방법을 정확히 알아두면 매우 유용합니다. 대표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크롬, 엣지, 사파리, 파이어폭스, 오페라 등 주요 브라우저에서 닫은 창을 다시 여는 방법을 순서대로 정리하겠습니다.

크롬 브라우저에서 닫은 창 다시 열기

가장 많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구글 크롬에서는 탭 복원이 매우 간단합니다.

  • 단축키: Ctrl + Shift + T (Windows), Cmd + Shift + T (Mac)
  • 마우스 방법: 브라우저 상단 탭 영역의 빈 공간을 마우스 오른쪽 버튼으로 클릭 → ‘닫은 탭 다시 열기’ 선택.
    이 단축키는 한 번 누를 때마다 최근에 닫은 탭이 순차적으로 복원됩니다. 예를 들어 여러 개의 탭을 한꺼번에 닫았다면 단축키를 여러 번 반복 누르면 됩니다.
    만약 크롬을 완전히 종료한 후 다시 실행했더라도, 마지막 세션에서 열려 있던 모든 탭을 자동 복원할 수 있습니다.
    자동복원 설정 방법:
  1. 크롬 우측 상단 점 세 개 메뉴 클릭.
  2. ‘설정’ → ‘시작 그룹’ 메뉴 선택.
  3. ‘이전에 열었던 페이지 다시 열기’ 선택.
    이 설정을 적용하면 크롬을 재실행할 때 닫혔던 모든 창이 그대로 복원되어 생산성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엣지(Edge) 브라우저에서 닫은 창 복원

마이크로소프트 엣지는 크롬과 동일한 크로미움 기반이라 단축키 체계가 유사합니다.

  • 단축키: Ctrl + Shift + T
  • 메뉴 방법: 상단 탭 바 오른쪽 클릭 → ‘닫은 탭 다시 열기’
    엣지에서는 ‘브라우저 세션 유지’ 기능도 제공됩니다.
    자동복원 설정:
  1. 오른쪽 상단 점 세 개 클릭 → ‘설정’
  2. ‘시작, 홈 및 새 탭’ 선택
  3. ‘Edge를 시작할 때’ 항목에서 ‘이전 세션의 탭 열기’ 선택
    이렇게 하면 재부팅이나 브라우저 종료 후에도 마지막에 보고 있던 창들이 모두 그대로 열립니다. 또한 엣지는 ‘히스토리(History)’에서 특정 날짜별로 닫은 페이지를 다시 열 수 있습니다. Ctrl + H를 누르면 방문기록 창이 열리고, 해당 사이트를 클릭하면 다시 접속할 수 있습니다.

사파리(Safari)에서 닫은 탭 열기

Mac이나 iPhone, iPad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파리 브라우저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단축키 (Mac): Cmd + Z 또는 Cmd + Shift + T
  • 메뉴: 상단 메뉴바에서 ‘기록(History)’ → ‘마지막으로 닫은 탭 다시 열기’ 선택
  • 모바일(iOS): 하단 탭 버튼 길게 누르면 ‘최근 닫은 탭 보기’가 표시됩니다.
    사파리는 닫은 탭을 복원하는 것 외에도, iCloud 계정을 통해 여러 기기 간 탭 동기화를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Mac에서 닫은 페이지를 iPhone에서 열 수 있습니다.
    iCloud 탭 연동:
  1. iPhone의 설정 → Apple ID → iCloud → Safari 활성화
  2. Mac의 Safari에서도 동일하게 iCloud 탭을 켜면 자동으로 동기화됩니다.
    이 기능을 활용하면 한 기기에서 닫은 창도 다른 기기에서 복원할 수 있어 매우 편리합니다.

파이어폭스(Firefox)에서 닫은 창 복구하기

모질라 파이어폭스는 세션 복원 기능이 강력하기로 유명합니다.

  • 단축키: Ctrl + Shift + T (Windows), Cmd + Shift + T (Mac)
  • 메뉴: 오른쪽 상단 햄버거 메뉴 → ‘기록’ → ‘최근에 닫은 탭’ 선택
    파이어폭스는 브라우저를 종료한 뒤 재실행할 때도 자동으로 탭을 복원할 수 있습니다.
    세션 복원 설정:
  1. ‘설정’ → ‘일반’ 탭 선택
  2. ‘시작’ 항목에서 ‘이전 세션 복원하기’ 체크
    또한 ‘기록’ 메뉴의 ‘모든 기록 보기(Ctrl + Shift + H)’로 들어가면 시간대별 방문 이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닫은 창 복원’ 기능도 따로 있어, 탭이 아닌 전체 창 단위로도 복원이 가능합니다. 이는 작업 중 여러 창을 사용하던 이용자에게 유용합니다.

오페라(Opera) 브라우저에서 닫은 탭 열기

오페라는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진 브라우저로, 닫은 탭 복원도 손쉽습니다.

  • 단축키: Ctrl + Shift + T
  • 방법: 상단 탭 바 오른쪽 클릭 → ‘닫은 탭 다시 열기’
    또는 우측 상단의 ‘탭 메뉴’(시계 모양 아이콘)를 클릭하면 ‘최근 닫은 탭 목록’이 표시됩니다. 이 목록에서 원하는 페이지를 클릭하면 즉시 복구됩니다.
    오페라는 ‘작업공간’ 기능이 있어, 업무·개인·연구용 등으로 탭 그룹을 분리해둘 수 있습니다. 실수로 닫았을 때도 각 작업공간의 히스토리에서 복원할 수 있어, 멀티태스킹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닫은 창 복원하기

스마트폰에서 웹페이지를 보다가 실수로 창을 닫는 경우도 많습니다. 모바일 브라우저는 화면 구조가 단순하지만 대부분 닫은 탭 복원이 가능합니다.
크롬(Android, iOS):

  1. 화면 하단 혹은 상단의 탭 전환 버튼 클릭
  2. ‘최근 닫은 탭’ 항목을 찾아 터치
  3. 원하는 페이지 선택
    사파리(iOS):
  4. 탭 버튼 길게 누르기
  5. ‘최근 닫은 탭 보기’ 선택
    삼성 인터넷:
  6. 하단 탭 버튼 클릭
  7. ‘최근 닫은 탭’ 메뉴 선택
  8. 복원할 페이지 터치
    모바일에서는 세션 복원 자동 기능이 제한적이므로, 중요 페이지는 북마크나 읽기 목록에 저장해 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히스토리(기록)에서 닫은 창 복원하기

단축키로 복구되지 않거나 브라우저가 강제 종료된 경우, 방문 기록을 통해 다시 열 수 있습니다.

  • 크롬: Ctrl + H → 방문기록 확인
  • 엣지: Ctrl + H
  • 파이어폭스: 메뉴 → ‘기록’
  • 사파리: ‘기록’ 메뉴 → ‘모든 기록 보기’
    기록은 보통 최근 몇 주 동안 방문한 페이지를 시간 순서대로 보관합니다. 이를 이용하면 닫은 창뿐 아니라 오래전에 열었던 페이지도 쉽게 복원할 수 있습니다.

작업 중인 문서나 탭 보호 팁

실수로 닫는 상황을 미리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1. 탭 고정: 크롬 등에서는 중요한 탭을 오른쪽 클릭 → ‘탭 고정’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고정된 탭은 실수로 닫히지 않습니다.
  2. 확장 프로그램 활용: ‘Session Buddy’, ‘OneTab’ 같은 확장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탭 세션 전체를 저장하고, 나중에 그대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
  3. 자동 저장 페이지 사용: 작성 중인 글이라면 Google Docs, Notion, Tistory 에디터 등 자동저장 기능이 있는 서비스에서 작업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4. 브라우저 동기화: 크롬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방문 기록, 열려 있는 탭, 북마크가 모두 구글 계정에 저장되어 다른 기기에서도 동일하게 복구됩니다.

결론

실수로 닫은 창이나 탭은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간단한 단축키나 메뉴 조작으로 복원할 수 있습니다. 특히 Ctrl + Shift + T 또는 Cmd + Shift + T는 거의 모든 브라우저에서 공통으로 작동하는 핵심 단축키이므로 반드시 익혀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이전 세션 복원’ 기능을 설정해두면 브라우저가 재시작될 때도 마지막 상태를 그대로 이어갈 수 있어 생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만약 기록이 사라졌더라도 ‘방문기록(History)’에서 다시 찾을 수 있으며, 탭 고정과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추가적인 보호 조치도 가능합니다. 실수로 닫은 창은 더 이상 당황할 일이 아니라, 몇 초 만에 되살릴 수 있는 관리 기술의 일부가 되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