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카페 24 매니지드 워드프레스 호스팅 네임서버(DNS) 관리 티스토리 개인 도메인 설정
웹사이트나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자신만의 도메인을 관리하고 싶다면 DNS 설정에 대한 이해는 필수입니다. 특히 카페 24의 매니지드 워드프레스 호스팅을 이용하면서 서브도메인을 티스토리 블로그와 연결하려고 할 때,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고민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카페 24에서 호스팅 중인 루트 도메인을 유지하면서 별도의 서브도메인을 만들어 티스토리 개인 도메인으로 설정하는 방법을 단계별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을 통해 여러분도 간단히 DNS를 관리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카페 24 DNS 관리 개념
DNS(Domain Name System)란?
DNS는 도메인 네임 시스템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사용되는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해 주는 서비스입니다. 도메인을 등록한 후 호스팅 서비스를 연결하거나 특정 웹서비스와 연결하려면 반드시 DNS 설정을 거쳐야 합니다.
카페 24 DNS 관리 시스템
카페 24는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로 DNS 설정을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별도의 전문 지식 없이도 간편한 설정을 통해 도메인과 연결된 다양한 서비스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개인 도메인 연결 설정하기
1단계: 카페 24 관리페이지 접속
우선 카페24 관리 페이지에 접속하여 도메인 관리
메뉴로 이동합니다. 그다음 중간에 위치한 DNS 관리
메뉴를 클릭하여 해당 도메인을 선택합니다. 이후 상단의 DNS 관리
버튼을 눌러 설정 화면으로 진입합니다.
2단계: 별칭(CNAME) 레코드 설정
루트 도메인(기본 도메인)은 보통 호스트 IP 주소를 직접 입력하여 사용하지만, 서브도메인의 경우 CNAME(별칭)을 설정하여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CNAME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을 시작합니다.
- 도메인 별칭: 원하는 서브도메인 이름을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blog.example.com
와 같은 형태로 입력하면 됩니다. - 실제 도메인: 티스토리 서비스 연결 시에는 티스토리에서 제공하는
host.tistory.io
주소를 입력해야 합니다.
설정을 입력한 후 확인
버튼을 클릭하면 간단히 CNAME 설정이 완료됩니다.
티스토리 블로그 개인 도메인 설정하기
3단계: 티스토리 설정 페이지 접속
카페 24에서 DNS 설정을 마쳤다면, 이제 티스토리 관리 페이지로 이동해 블로그 설정을 시작해야 합니다. 티스토리 관리자 페이지에서 블로그 관리
메뉴로 이동하고, 그 아래의 '개인 도메인 설정
항목으로 들어갑니다.
4단계: 개인 도메인 적용하기
개인 도메인 입력 칸에 조금 전 카페 24에서 생성한 서브도메인을 정확히 입력합니다. 입력 후 변경사항 저장
버튼을 클릭하여 설정을 완료합니다.
설정 직후에는 연결 상태가 즉시 반영되지 않을 수 있으며, 티스토리 서버와의 연동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 경우 브라우저를 새로고침 하여 설정이 올바르게 적용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티스토리 SSL(보안 인증서) 발급하기
최근 티스토리는 SSL 보안 인증서 발급이 지연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SSL 인증서가 없으면 브라우저에서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로 분류되므로 빠르게 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SSL 인증서 발급이 지연될 경우
티스토리에서 개인 도메인 설정 이후 보안 인증서 발급이 지연되는 상황에서는 티스토리 고객센터에 문의하여 인증서 발급을 요청하면 됩니다. 요청 시 설정한 개인 도메인 주소를 함께 알려주면 보통 하루 이내에 SSL 인증서가 발급되어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DNS 설정 시 주의할 점
설정 오류 확인하기
DNS 설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오류는 실제 도메인을 잘못 입력하는 것입니다. 티스토리의 연결 주소인 host.tistory.io
를 정확히 입력하지 않으면 연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네트워크 전파 시간
DNS 설정이 전 세계 네트워크에 전파되는 데는 최대 48시간까지 소요될 수 있습니다. 설정 직후 연결되지 않는다고 당황하지 말고 일정 시간 기다려 보는 것도 중요합니다.
결론
이처럼 카페24 매니지드 워드프레스 호스팅에서 DNS를 관리하고, 티스토리 개인 도메인을 설정하는 과정은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각 단계별 설정만 잘 따라 한다면 누구나 간편히 자신만의 도메인을 티스토리 블로그와 연동할 수 있습니다. DNS 설정을 통한 개인 도메인 사용으로 나만의 브랜드와 아이덴티티를 더 확실하게 구축할 수 있으니, 꼭 시도해 보시기 바랍니다.
가만히 있으면 가마니가 됩니다. 복잡해 보이는 설정도 한번 해보면 어렵지 않습니다. 오늘 이 글을 통해 도메인 설정을 마스터하고 보다 전문적이고 세련된 웹사이트 관리를 시작해 보세요.
'IT 모바일 Gear Up > 애드센스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스토리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 등록 방법 및 서치어드바이저 수동 수집요청 완벽 가이드 (0) | 2025.04.01 |
---|---|
티스토리에서 워드프레스로 이전하는 방법, 플러그인, RSS.xml (0) | 2025.03.30 |
티스토리 애드센스 승인 빨리 받는 방법 - 가치가 별로 없는 컨텐츠(인벤토리) 정책 (0) | 2025.03.22 |
구글 애드센스 Offerwall 오퍼월 광고 설정방법 - 광고를 봐야만 컨텐츠를 볼 수 있다는 모달 창 (0) | 2025.03.12 |
티스토리에서 워드프레스로 옮길 때 WordPress 주소 길이 늘리는 방법: Longer Permalinks 플러그인 (0) | 2025.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