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청원경찰 봉급표 완전 해설
청원경찰이라고하면 보통 은행에서 어슬렁거리는 분들을 떠올리는 분들이 많으시겠지만, 사실 청원경찰은 국가 보안시설 곳곳에서 활약중인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청원경찰 봉급표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닏.
2025년 청원경찰 보수 개정안 핵심 요약
- 개정 일자: 2025년 4월 22일
- 법적 근거: 「청원경찰법 시행령」 제9조 및 별표 1
- 평균 인상률: 2024년 대비 약 7 %
- 예시 – 15년 미만 1호봉: 1,870,000 원(’24) → 2,000,900 원(’25)
- 구간 구조: 재직기간 4단계(15년 미만 / 15–23년 / 23–30년 / 30년 이상)
- 수당 체계: 순경‧경장‧경사‧경위와 동일한 기본 수당 + 청원경찰 특수수당(직책수당·기본교육비 등)
청원경찰 봉급표(2025년 4월 개정·월 지급액, 단위: 원)
(청원경찰 봉급표 출처: 「청원경찰법 시행령」 별표 1)
호봉 | 15년 미만 | 15년 이상 | 23년 이상 | 30년 이상 |
1 | 2,000,900 | - | - | - |
2 | 2,031,100 | - | - | - |
3 | 2,070,500 | - | - | - |
4 | 2,119,500 | - | - | - |
5 | 2,178,700 | - | - | - |
6 | 2,248,900 | - | - | - |
7 | 2,331,000 | - | - | - |
8 | 2,420,900 | - | - | - |
9 | 2,507,300 | - | - | - |
10 | 2,590,200 | - | - | - |
11 | 2,669,500 | - | - | - |
12 | 2,747,900 | - | - | - |
13 | 2,823,400 | 3,014,600 | - | - |
14 | 2,896,700 | 3,090,800 | - | - |
15 | 2,966,700 | 3,164,000 | - | - |
16 | 3,034,400 | 3,234,800 | - | - |
17 | 3,100,600 | 3,300,700 | - | - |
18 | 3,162,300 | 3,364,700 | - | - |
19 | 3,222,900 | 3,426,200 | 3,830,300 | - |
20 | 3,280,600 | 3,484,800 | 3,893,200 | - |
21 | 3,334,900 | 3,540,600 | 3,953,300 | - |
22 | 3,387,400 | 3,594,300 | 4,010,000 | - |
23 | 3,437,300 | 3,645,400 | 4,064,800 | - |
24 | 3,485,200 | 3,694,800 | 4,116,900 | 4,403,100 |
25 | 3,530,600 | 3,741,600 | 4,166,100 | 4,455,700 |
26 | 3,572,100 | 3,787,000 | 4,213,400 | 4,503,800 |
27 | 3,607,600 | 3,824,800 | 4,253,300 | 4,544,900 |
28 | 3,641,800 | 3,861,300 | 4,290,500 | 4,584,600 |
29 | 3,674,800 | 3,895,700 | 4,326,500 | 4,622,100 |
30 | 3,707,100 | 3,929,100 | 4,361,000 | 4,657,300 |
31 | 3,738,400 | 3,961,500 | 4,393,300 | 4,691,100 |
재직기간 구간의 의미
- 15년 미만: 신규 ~ 중견 단계. 직책수당 없는 일반요원 비중이 높음.
- 15–23년 미만: 중견 ~ 선임 단계. 13호봉 이하가 사라지므로 능력 미달자는 사실상 탈락.
- 23–30년 미만: 숙련 전문요원. 기관 내 핵심 실무자·팀장급.
- 30년 이상: 기관 내 최장기 근속 베테랑. 기관보안·시설보호 전문가로 예우.
2024년 대비 인상폭 분석
- 1호봉(15년 미만) 기준: 133,900 원 증가(7.2 %)
- 19호봉(15년 이상) 기준: 116,200 원 증가(약 3.5 %)
- 24호봉(30년 이상) 기준: 110,600 원 증가(약 2.6 %)
최근 정부 임금정책 기조를 반영, 초급·중급 호봉을 두텁게 올려 신규 인력 유입과 사기 진작에 초점을 맞춤.
기본·가계보전 수당 체계
분류 | 수당명 | 산정 기준 |
가계보전 | 가족수당 | 부양가족 수, 최대 70,000 원 |
가계보전 | 정근수당·가산금 | 근속 2년 단위, 최대 기본급의 50 % |
근무조건 | 정액급식비 | 월 200,000 원 |
근무조건 | 초과근무수당 | 「공무원수당 규정」 기준 (월 57시간 한도) |
직책수당 | 대장 50,000 원, 반장 40,000 원, 조장 30,000 원 |
|
직급보조비 | 호봉·부서별 차등 | 150,000 원 ± |
명절휴가비 | 연 2회 | 기본급의 60 % |
연가보상비 | 미사용 연가일수 | 1일당 86,000 원 |
성과상여금 | 기관평가·개인근무성적 | 연 1회 등급별 40 % ~ 150 % |
교육·훈련 | 기본교육비(2주) | 하절기 176,670 원 동절기 178,630 원 |
TIP – 청원경찰은 「공무원수당 등에 관한 규정」상의 대부분 수당을 동일하게 적용받아, 정규직 공무원 못지않은 복지체계를 누릴 수 있다.
직책수당·기본교육비 상세
직책수당
- 대장: 월 50,000 원
- 반장: 월 40,000 원
- 조장: 월 30,000 원
→ 부여 기준은 시설 규모·경비 인원수에 따라 경찰청장이 매년 고시.
기본교육비
- 최초 임용 시 2주 합숙 교육
- 하절기(3–10월): 176,670 원
- 동절기(11–2월): 178,630 원
→ 복무규정·사격·장비조작·응급처치 등 필수 과정 포함.
호봉 승급·경력 인정
- 승급 주기: 1년 1호봉 – 근무성적평정 C등급 이상 필수
- 경력 인정: 군·경·의경 복무, 특수경비업무 최대 4년
- 징계 감봉: 최대 2호봉 정지. 15년 이상 구간에서 13호봉 미만이라면 징계·근무평정 미달 가능성을 의심.
2025년 임금체계의 의의
- 보안 인력 전문성 강화 – 높은 위험도 시설(원전, 항만, 공항 등)에서 장기근속 장려.
- 신규 채용 활성화 – 초급 호봉 인상으로 타 민간경비업 대비 경쟁력 확보.
- 지역 편차 완화 – 국가기관·지자체 공통 봉급표 적용으로 지방 근무 기피 현상 최소화.
- 성과연동 보수체계 – 성과상여 등 ‘Pay for Performance’ 확대.
전망과 과제
- 물가 연동성: 2026년 최저임금 상승폭 ≥ 기본급 인상폭 여부가 관건.
- 경비업법 vs 청원경찰법: 민간경비‧특수경비 인력과 임금 역전 문제.
- 직무 범위 재정의: IOT·AI CCTV 도입으로 정보보안 역량 요구 증대.
- 복지수준 격차: 공공기관 계열 청원경찰 ↔ 민간위탁 기관 간 복지 격차 해소 필요.
결론
2025년 개정 봉급표는 초급 호봉 강화·장기근속자 예우라는 투트랙 전략으로 설계됐다. 직무 난이도와 책임에 비해 낮다는 지적이 많았던 청원경찰 보수체계가 한 단계 상향 조정되었지만, 물가 상승과 민간경비 시장 변화 속에서 지속 가능한 임금·복지 설계가 앞으로의 과제다.
반응형
'경제 직업 직장 세금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6년 군인연금 인상률 2025 물가상승률 전망 (0) | 2025.07.22 |
---|---|
교사 봉급표 2025 (0) | 2025.07.21 |
국가 서열순위 - 우리나라 의전서열·권력서열 총정리 (4) | 2025.07.21 |
경찰공무원 봉급표 2025 시보 월급 (0) | 2025.07.19 |
209시간 계산법 vs 226시간 (0) | 2025.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