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이지스함 대수 정조대왕함 세종대왕함, 율곡이이함, 서애 류성룡함, 충무공이순신함, 문무대왕함, 광개토대왕함, 대한민국 이지스함 보유대수
대한민국 해군의 전략적 해상 전력 개요
대한민국 해군은 21세기 들어 ‘대양해군’으로의 도약을 목표로 다양한 전투함정의 현대화를 추진해왔습니다. 특히 구축함(DD), 이지스함(DDG), 호위함(FFG), 초계함(PCC), 상륙함(LPH/LST), 잠수함(SS/SSG/SSK) 등의 다양한 함정을 전력화하며 주변국과의 해상 안보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대한민국 이지스함 보유대수, 주요 구축함 및 호위함의 함명, 잠수함 전력을 총망라하여 분석합니다.
나름 자료 조사도 많이 하고 사진자료도 많이 삽입할 수 밖에 없는 컨텐츠인데, 자꾸 저품질 나니까, 글을 정성들여 쓰기 싫어지네요. 물론 챗지피티의 도움을 받지만, 제 글은 일일일 검수하고, 자료조사한 걸 넣어서 보기 좋게 정리만 AI가 해주는건데...맥빠지네요. 아무튼 이 글은 좀 간략화된 버전이며, 진짜 대한민국 해군 함정 종류 전반에 대한 글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대한민국 해군 함정 종류, 잠수함 이지스함 한국 군함 보유 대수
역사 그리고 무기 자동차 관련 잡다한 블로그
helium.sknanzn.pw
한국 이지스함 대수 현황
대한민국 해군은 미국 록히드마틴의 AEGIS 전투체계를 탑재한 이지스함(DDG)을 통해 탄도탄 탐지, 요격, 대함·대공·대잠 종합전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한국 이지스함 대수 현황입니다.
보유 이지스 구축함 (세종대왕급 Batch-I)
- 세종대왕함 (DDG-991) - 2008년 취역, 7,600톤급
- 율곡이이함 (DDG-992) - 2010년 취역
- 서애 류성룡함 (DDG-993) - 2012년 취역
차세대 이지스 구축함 (정조대왕급 Batch-II)
차세대 이지스함 1호 정조대왕함 해군의 첫 8200t급 차세대 이지스 구축함인 정조대왕함
- 정조대왕함 (DDG-995) - 2023년 진수, 2024년 실전배치 예정. 8,200톤급
- 다산정약용함 (DDG-996) - 2025년 9월 진수, 2026년경 실전 배치 예정 정조함 나왔으면 정약용함도 나와야쥬~ 다들 역사 아시잖아요?
총 4척 (운용 중 3척 + 추가 배치 1척 예정). 세종대왕급은 SM-2 미사일, SPY-1D 레이더 등 전천후 전투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정조대왕함은 탄도미사일 탐지·요격이 강화된 최신형 AEGIS 전투함입니다.
대한민국 해군 구축함 전력
DDH-I 구축함 (광개토대왕급, 3,800톤급)
대한민국 최초의 국산 구축함 시리즈로, 1990년대 말부터 운용되었습니다.
- 광개토대왕함 (DDH-971) – 1998년 취역
- 을지문덕함 (DDH-972)
- 양만춘함 (DDH-973)
DDH-II 구축함 (충무공이순신급, 4,400톤급)
국산 중형 구축함으로 대양해군의 초석이 된 기종입니다.
- 충무공이순신함 (DDH-975) – 2003년
- 문무대왕함 (DDH-976)
- 대조영함 (DDH-977)
- 왕건함 (DDH-978)
- 강감찬함 (DDH-979)
- 최영함 (DDH-981)
총 6척. 이들은 대공, 대함, 대잠 능력을 두루 갖춘 다기능 구축함으로, 다양한 국제 훈련과 해외 파병 임무에 투입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해군 호위함 (FFG) 전력
인천급 호위함 (Batch-I, 2,300톤급)
- FFG-811 인천함
- FFG-812 경기함
- FFG-813 전북함
- FFG-815 강원함
- FFG-816 충북함
- FFG-817 광주함
대구급 호위함 (Batch-II, 2,800톤급)
인천급의 확장·개량형으로, 최신형 대잠 헬기 운용 가능.
- FFG-818 대구함
- FFG-819 경남함
- FFG-821 서울함
- FFG-822 동해함
- FFG-823 대전함
- FFG-825 전남함
- FFG-826 제주함 등 추가 건조 중
대한민국 해군 잠수함 전력
대한민국은 독일의 209형과 214형을 기반으로 한 잠수함을 보유하며, 독자개발한 3,000톤급 장보고-III급 잠수함까지 실전배치 중입니다.
209급 잠수함 (장보고-I급, 1,200톤급)
- 1980~90년대 도입, 장보고함 (SS-061), 이천함, 나대용함 등 9척
214급 잠수함 (손원일급, 1,800톤급)
- 손원일함 (SS-072) – 2007년
- 정지함 (SS-073)
- 안중근함 (SS-075)
- 윤봉길함, 이범석함, 홍범도함 등 포함 총 9척 이상 보유
3,000톤급 장보고-III 잠수함 (SLBM 가능)
- 도산 안창호함 (SS-083) – 2021년
- 안무함, 이순신함, 유성룡함 (계획) 포함 9척 이상 예정
대한민국 해군 보유 잠수함, 총 한국 잠수함 보유대수는 약 18~20척이며, SLBM(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을 발사 가능한 전략급 전력도 확보 중입니다.
그 외 주요 함정 요약
자세한 기타 해군 군함 종류들에 대한 것은 다음의 링크로 방문해 주세요.
대한민국 해군 함정 종류, 잠수함 이지스함 한국 군함 보유 대수
역사 그리고 무기 자동차 관련 잡다한 블로그
helium.sknanzn.pw
상륙함 (LPH/LST)
- 독도함 (LPH-6111) – 대한민국 해군 최초의 대형 상륙함, 14,000톤
- 마라도함 (LPH-6112) – 2020년 이후 배치
- 비로봉함, 향로봉함, 성인봉함, 고준봉함 (2,000톤급 LST)
고속정(PKM), 초계정(PCC)
- 약 20여 척 운용 중. 속초함, 진해함, 원주함 등
고속정은 남북 해상 경계선 충돌에서 자주 등장하는 작고 빠른 함정입니다.
함과 정의 구분 및 명명 원칙 요약
구분 | 정의 | 예시 |
함 (艦) | 500톤 이상 대형 전투함 | 세종대왕함, 충무공이순신함, 광개토대왕함 등 |
정 (艇) | 500톤 미만의 소형 전투함 | 참수리급 고속정 등 |
함명 부여 | 국군의 상징적 인물(왕·장수), 지역명, 자연물 등 | 충무공 이순신, 대구함, 독도함, 도산 안창호함 등 |
대한민국 해군 주요 군함 현황 정리
이지스함 총 보유 수
- 3척 운용 중 + 1척 진수 완료: 세종대왕함, 율곡이이함, 서애 류성룡함 + 정조대왕함
주요 구축함
- DDH-I (3척): 광개토대왕함, 을지문덕함, 양만춘함
- DDH-II (6척): 충무공이순신함, 문무대왕함, 대조영함, 왕건함, 강감찬함, 최영함
주요 호위함
- 인천급 (6척) + 대구급 (7척 이상)
잠수함
- 209형/214형/장보고-III형 포함 약 18~20척
결론: 대한민국 해군, 대양해군을 향한 전력 강화 중
대한민국 해군은 북방한계선(NLL)과 동·서·남해 해역을 포함한 연근해 및 대양에서의 임무 수행을 위해 전투함정의 고도화를 지속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이지스함과 장보고-III 잠수함의 실전 배치는 한반도 주변의 해상 전력 균형을 지키는 핵심 전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정조대왕함을 시작으로 하는 차세대 이지스함의 확장과 장보고-III 배치가 완료되면, 한국 해군은 명실상부한 대양해군의 기반을 완성하게 될 것입니다.
'무기 전투기 미사일 전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6년 공군·해군·육군 대령 진급자 명단, 추가 중령 진급 발표 (0) | 2025.10.02 |
---|---|
k-2 흑표전차 가격, 생산업체, K2 탱크 제원 (0) | 2025.07.02 |
전세계 핵무기 보유국, 핵탄두 보유수량 이란 (0) | 2025.06.25 |
한국 전투기 조종사는 몇명? 우리나라 여자 파일럿 비율 (0) | 2025.06.24 |
b-21 스텔스 폭격기 가격, b21 레이더 제원 (0) | 2025.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