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어학 어원 상식

What a Wonderful World 가사 해석

by sk2nd 2025. 7. 14.
반응형

What a Wonderful World 가사 해석과 루이 암스트롱 프로필

1967년 미국 라스베이거스 United 스튜디오에서 녹음된 What a Wonderful World는 밥 틸(필명 George Douglas)과 조지 데이비드 와이스가 작곡·작사하고, 재즈 거장 루이 암스트롱(Louis Armstrong)의 담백한 허스키 보컬이 더해져 완성된 팝·R&B 발라드입니다.

What a Wonderful World What a Wonderful World

베트남전과 인권운동으로 혼란하던 시대 정서를 치유하고자 한 이 노래는 미국에서 초반 흥행에는 실패했지만, 영국 차트 1위를 기록하며 세대와 국경을 초월한 희망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영화 굿모닝 베트남 (1987) 삽입 이후 빌보드 핫100 차트에 재진입하며 재조명되기도 했습니다.

What a Wonderful World 곡 정보 한눈에 보기

  • 발매일: 1967년 9월
  • 레이블: ABC Records
  • 장르: 팝, R&B
  • 작곡·작사: Bob Thiele(George Douglas), George David Weiss
  • 수상: 1999 그래미 명예의 전당 헌액
  • 빌보드 성적: 1988년 재발매 시 Hot 100 32위(영국 싱글 1위)

2024.02.16 - [어학 어원 상식] - 롤링 스톤즈 Paint It Black 가사 해석 - 머나먼 정글 OST 주제곡

2024.03.22 - [어학 어원 상식] - stay with me 가사 해석 일본 시티팝 마츠바라 미키"真夜中のドア〜 stay with me"

2024.03.27 - [어학 어원 상식] - La Vie en Rose 가사 해석, 에디트 피아프 프로필

2024.04.20 - [어학 어원 상식] - 빌리 조엘 피아노맨 가사 Piano Man lyrics 해석

2024.08.07 - [어학 어원 상식] - 오즈의 마법사 OST over the rainbow 가사 해석, 주디 갈란드 (Judy Garland) 프로필

2024.02.13 - [어학 어원 상식] - 루이 암스트롱 "When the Saints Go Marching In" 가사 해석

2024.03.07 - [어학 어원 상식] - All By Myself 가사 해석 뜻, 작곡가 가수 Eric Carmen 에릭카펜 프로필

What a Wonderful World 가사 전문 (원문)

What a Wonderful World 가사

I see trees of green, red roses too
I see them bloom for me and you
And I think to myself what a wonderful world.
I see skies of blue and clouds of white
The bright blessed day, the dark sacred night
And I think to myself what a wonderful world.
The colors of the rainbow so pretty in the sky
Are also on the faces of people going by
I see friends shaking hands saying how do you do
They're really saying I love you.
I hear babies cry, I watch them grow
They'll learn much more than I'll never know
And I think to myself what a wonderful world
Yes I think to myself what a wonderful world.

What a Wonderful World 가사 해석

초록색, 붉은색 장미 나무도 보여요
나는 그들이 나와 너를 위해 꽃을 피우는 것을 본다.
그리고 나는 내 자신에게 얼마나 멋진 세상인지 생각한다.
푸른 하늘과 흰 구름이 보인다.
밝고 축복받은 날 어두운 신성한 밤
그리고 나는 내 자신에게 얼마나 멋진 세상인지 생각한다.
하늘에 있는 무지개의 색깔이 너무 예뻐요.
또한 지나가는 사람들의 얼굴에도 있다.
나는 친구들이 악수하는 것을 본다. 어떻게 지내냐고.
그들은 정말로 내가 당신을 사랑한다고 말하고 있어요.
나는 아기들이 우는 소리를 듣고, 자라는 것을 지켜본다.
그들은 내가 결코 알 수 없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것을 배울 것이다.
그리고 나는 내 자신에게 얼마나 멋진 세상인지 생각한다.
그래, 나는 내 자신에게 얼마나 멋진 세상인지 생각해.

라인별 해석 및 감상 포인트

1절 : 자연에 투영된 긍정

I see trees of green, red roses too…
자연의 색채를 묘사하며 “나와 당신을 위해 피어난다”고 표현합니다. 이는 인간 공동체를 품는 포용적 시선으로, 루이 암스트롱 특유의 따뜻한 음색이 ‘우리가 함께 누리는 세상’이라는 메시지를 강화합니다.

2절 : 빛과 어둠의 공존

The bright blessed day, the dark sacred night…
낮과 밤, 밝음과 어둠이 함께 어우러져야 세상이 완전해진다는 역설을 전합니다. “blessed”와 “sacred”라는 종교적 어휘는 ‘고난까지도 축복’이라는 긍정적 세계관을 시사합니다.

브리지 : 사람 얼굴에 비친 무지개

The colors of the rainbow so pretty in the sky / Are also on the faces of people going by…
하늘 무지개와 사람 얼굴을 같은 색채로 연결해 인류 다양성을 포용합니다. 악수 장면은 인종 장벽을 넘어선 인사를 상징하며, “I love you”라는 숨은 고백으로 인간애를 노래합니다.

3절 : 다음 세대의 희망

I hear babies cry, I watch them grow…
아이들의 성장에서 미래 가능성을 보고 “우리가 알지 못할 더 큰 배움”을 기대합니다. 이는 기성세대가 다음 세대에 희망을 물려주어야 한다는 윤리적 메시지로 읽힙니다.


음악적 특징

  • 편곡: 스트링 오케스트라와 경쾌한 글로켄슈필이 루이 암스트롱의 저음 보컬을 부드럽게 받쳐 줍니다.
  • 보컬 스타일: 특유의 허스키 톤과 뒤늦은 노장(당시 66세)다운 관조적 해석으로 가사에 깊이를 부여했습니다.
  • 트럼펫: 스튜디오 버전에는 암스트롱이 트럼펫을 연주하지 않았지만, 라이브에서는 간결한 애드리브로 감동을 배가시켰습니다.

루이 암스트롱 프로필

루이 암스트롱 Louis Daniel Armstrong

  • 이름: Louis Daniel Armstrong
  • 별칭: Satchmo, Pops
  • 출생: 1901-08-04,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
  • 사망: 1971-07-06, 미국 뉴욕 퀸스
  • 국적: 미국
  • 직업: 트럼펫 연주자, 가수, 밴드리더, 작곡가
  • 주요 악기: 트럼펫, 코르넷
  • 활동 기간: 1910s-1971
  • 대표곡: What a Wonderful World, Hello, Dolly!, La Vie En Rose, Stardust, When the Saints Go Marching In
  • 주요 음반: Louis Armstrong Plays W.C. Handy (1954), Hello, Dolly! (1964), What a Wonderful World (1968)
  • 수상·훈장: 그래미 평생 공로상(1972, 사후), 로큰롤 명예의 전당 '역사적 영향' 부문(1990), 스미소니언 재즈 명예의 전당 헌액
  • 업적: 스캣싱 기법 대중화, 즉흥 솔로 중심의 재즈 스타일 확립, 인종 차별 문제 공개 비판(Little Rock 통학 사태 발언)

생애 타임라인

  1. 1901 – 1918 : 뉴올리언스 빈민가에서 성장, 소년원 밴드에서 코르넷 연주 시작
  2. 1922 – 1929 : 시카고·뉴욕 이동, 킹 올리버·플레처 헨더슨 오케스트라 활동, 녹음 혁명 일조
  3. 1930s – 1940s : 할렘 재즈 전성기, 할리우드 영화·브로드웨이 진출
  4. 1950s : 전 세계 순회공연, 냉전기 미국 문화외교 ‘재즈 대사’ 역할
  5. 1960s – 1971 : 노년에도 활발히 활동, What a Wonderful World로 세계적 메가히트, 1971년 70세 일기로 별세

곡 후속 영향 · 재해석

  • 영화·TV: 굿모닝 베트남(1987) 삽입으로 전쟁 반전 메시지와 결합해 새로운 세대에게 각인.
  • 커버 버전: 이자벨라 로셀리니, 로드 스튜어트, 노라 존스 등 수많은 아티스트가 재해석, 장르 스펙트럼 확대.
  • 광고·공익 캠페인: 자선·환경 캠페인 BGM 단골, ‘희망’ 키워드의 보편적 심벌로 자리.

결론

What a Wonderful World는 단순한 러브송이 아니라, “작은 일상 속에서 발견하는 거대한 긍정”을 노래한 인류애의 선언문입니다. 루이 암스트롱의 생애가 그렇듯, 이 곡은 억압과 불안의 시대에도 음악이 줄 수 있는 위로와 희망이 무엇인지를 증명합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는 초록 나무와 붉은 장미, 푸른 하늘과 흰 구름을 통해 세상의 아름다움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 사실을 음미하는 태도가 곧 ‘멋진 세상’을 만드는 첫걸음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