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무원 직급체계 직급표·교사 급수·직위 총정리
– 왜 공무원 ‘직급·직위·계급’이 헷갈릴까?
국가·지방공무원법은 ‘공무원’이라는 큰 우산을 씌워 놓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직급(급수)·직위(보직)·계급(계급장)이 뒤섞여 쓰입니다. 행정직 9급 합격자에게는 ‘○○주무관’이란 직위가 부여되고, 군인은 ‘대위’라는 계급으로 호봉을 받습니다. 교사는 ‘교사-정교사 2급’ 자격으로 발령받지만 직위는 ‘담임교사’입니다.
이 글은 일반직·교원·군인·경찰·소방·교정·전문경력관까지 모두 아우르는 공무원 직급체계 직급표를 한눈에 정리합니다.
1급-9급 일반직 공무원 직급체계
공무원 급수·호봉·직위 기본 구조
- 급수: 1급(가장 높음)-9급(가장 낮음).
- 호봉: 같은 급수 내에서 경력·연공을 반영.
- 직위: 과장·팀장·주무관 등 실제 보직.
공무원 승진 흐름
- 9급(주무관) → 7급(주무관·주사보)
- 6급(주사) → 5급(사무관) – 고시·지역인재·승진시험
- 4급(서기관) → 3급(부이사관) → 2급(이사관) → 1급(관리관)
- 차관보-차관-장관은 정무직으로 분류
교원 직위·급수 매핑
교원 직위 구조
- 교장: 학교 경영 총괄, 5급 상당
- 교감: 학교 운영 부책임자, 6급-7급 상당
- 수석교사: 수업컨설팅·연수 주관, 6급-7급 상당
- 교사: 담임·과목 담당, 7급 상당
특징
- 교원은 ‘계급장’이 없고 자격·경력에 따라 자격증(정교사 1급·2급, 수석교사)으로 구분
- 초중등교육법 제19조: “교장·교감·수석교사·교사를 둔다”라고만 규정 → 직급이 아닌 직위
군인 계급체계와 공무원 급수 대응
고위장교 계급
- 대장 ⭐⭐⭐⭐ → 장관급(정무직)
- 중장 ⭐⭐⭐ → 차관급(1급)
- 소장 ⭐⭐ → 1-2급
- 준장 ⭐ → 1-2급
영관·위관 계급
- 대령·중령 → 2-3급
- 소령·대위 → 3-5급 (전시 예우 규정)
- 중위·소위 → 5-7급 (전시 예우 규정)
전시 및 계엄하에서는 영관 및 위관의 대우가 격상됩니다. 평시에도 7급으로 적지 않은 직급대우를 해주는데, 전시가 되면 소위가 군수와 맞먹는 5급이 됩니다. 군정을 실시하기 위한 조치로 짐작됩니다.






부사관·병 계급
- 원사·상사 → 6-8급
- 중사·하사 → 7-9급
- 병장 이하 → 적용 안 됨(군인은 별도 봉급표)
국무총리훈령 제157호(1980) ‘군인 예우 기준’이 아직 유효해 논란이 지속 중입니다.
경찰 계급과 급수
- 치안총감 ⭐⭐⭐⭐ → 장관급
- 치안정감 ⭐⭐⭐ → 차관보(1급)
- 치안감 ⭐⭐ → 1-2급
- 경무관 ⭐ → 2-3급
- 총경 → 3-4급
- 경정-경감-경위 → 4-6급
- 경사-경장-순경 → 7-9급






소방공무원 계급과 급수
- 소방총감 ⭐⭐⭐⭐ → 장관급(소방청장)
- 소방정감 ⭐⭐⭐ → 1급
- 소방감 ⭐⭐ → 2-3급
- 소방준감 ⭐ → 3-4급
- 소방정-령-경 → 4-6급
- 소방위-장-교 → 6-9급
교정·검찰 조직 – 직위 중심
검찰
- 검사장·고검장: 차관급(정무직)
- 차장검사·부장검사: 1-2급 상당
- 평검사: 4-5급 상당
검사에게 ‘계급’ 대신 직위만 존재.
교정(교도관)
- 교정정감-교정준감: 1-2급
- 총경급 교정관-교감: 3-4급
- 교도관-교도직장: 5-9급
전문경력관·연구직·지도직
- 전문경력관 가군: 2-3급
- 나군: 4-6급
- 다군: 6-9급
- 농촌지도관·연구관: 5급
- 농촌지도사·연구사: 6-7급
조선시대 품계와 현대 공무원 서열 비교
역사적 재미를 위해 대표 품계만 매칭했습니다.
- 정1품 영의정 ≈ 장관급
- 종1품 좌·우의정 ≈ 차관급
- 정2품 판서 ≈ 1-2급
- 종2품 참판 ≈ 2-3급
- 정3품 참의 ≈ 3-4급
- … 이하 9품은 8-9급과 유사
승진 로드맵과 현실
일반직
- 호봉승급: 매 1년
- 근속승진: 6-9급에서 일정 연차 달성 시
- 시험승진: 7·6·5급 승진시험 및 역량평정
- 고위공무원단(국·과·실장): 성과계약 및 심사
교원
- 교감 자격연수 1년 → 교감 임용
- 장학관·교장 자격연수 → 공모제 교장 가능
- 수석교사: 경력 15년 이상 + 인증평가
군·경·소방
- 진급심사: 정원 관리·근무평정·보직필수기간 충족
- 교육 과정: 군사교육·지휘참모과정(SC) 등
직급별 보수 체계 팁
- 행정직 공무원: <공무원보수규정> 별표 1
- 군인: <군인보수법> 별표 3
- 교원: <교육공무원보수규정> 별표 3
- 경찰·소방: 각각 <경찰공무원 보수규정>·<소방공무원 보수규정>
결론 – 직급 이해가 곧 커리어 전략
공무원 사회에서 급수는 승진 목표, 직위는 업무 권한, 계급은 조직 문화를 좌우합니다. 체계를 정확히 알아야 승진 시험 준비 방향, 이직 가능성, 연금 수령액까지 설계할 수 있습니다. 특히 교사처럼 ‘계급’이 따로 없는 직군은 자격·보직·경력 관리가 승진의 핵심입니다. 자신의 위치를 지도에 표시하고, 다음 스텝을 명확히 설정해 보시기 바랍니다.
반응형
'경제 직업 직장 세금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년연장 65세 시행 시기 (0) | 2025.08.01 |
---|---|
공무원 출장비 지급규정 (0) | 2025.07.30 |
이리듐·백금·팔라듐·로듐 시세, 가격, 귀금속 뜻 (0) | 2025.07.29 |
소득공제 세액공제 차이, 대중교통비 소득공제 (0) | 2025.07.28 |
공무원 복지포인트 사용 방법 및 계산법 (0) | 2025.07.25 |